맨위로가기

신도 (사상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도(慎到)는 조나라 출신의 사상가로, 전국 시대 제나라 선왕 시기에 직하에서 학문을 익혔다. 그는 도가와 법가의 사상을 절충하여 자신만의 독특한 사상 체계를 구축했으며, 법가의 영향을 받아 법치와 무위를 강조했다. 신도는 세(勢)의 중요성을 역설하며 능력주의에 기반한 인재 등용과 공정한 분배를 주장했다. 그의 사상은 한비자에게 계승되었으며, 저서 《신자》는 현재 일부만 전해진다.

2. 생애와 활동

신도(慎到)는 조나라 출신으로, 제나라 선왕(宣王) 시기 직하에서 학문을 익혔다.[1] 사마천의 《사기》에 따르면, 신도는 추연, 순우곤, 전변, 접여, 환연 등과 함께 직하의 학사 중에서도 높은 지위에 있었다.

당나라 말기까지 존재했던 신도의 원본 저작은 현재 유실되었으며, 7개의 단편만이 남아있다.[1] 폴 톰슨은 유실된 《신자(慎子)》를 비판적으로 재구성하여 1979년 《신자 단편(The Shen Tzu Fragments)》으로 출판했다. 2007년 상하이 박물관전국 시대 초나라대나무 조각에 기록된 텍스트 모음을 출판했는데, 여기에는 신자의 어록이 담긴 6개의 죽간이 포함되어 있었다.[2]

3. 사상적 특징

신도는 도가법가의 사상을 절충하여 자신만의 독특한 사상을 구축했다. 권위주의적인 면모를 보이면서도 행정 기구(법)를 통해 공정한 상벌을 결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8] 또한 우주론적 언급 없이 ""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도교한비자의 선구자로 여겨지기도 한다.[4]

장자》는 신도를 공정하고 이기심이 없는 인물로 묘사하며, 그의 위대한 도가 만물을 포용한다고 평가한다.[7] 맹자처럼 신도 역시 부모가 잘못했더라도 효를 옹호했지만, 부모가 재앙에서 벗어날 수 있다면 꾸짖을 수 있다고 제안했다.[8] 유교와 같은 가치를 국가 통치에 충분하다고 여기지 않은 신도는 통치자가 규칙에 따라 행동함으로써 규칙에 대한 믿음을 장려해야 한다고 옹호했다.[8]

순자는 신도가 유능한 인재 등용보다 법(法)에 집착한다고 비판했지만, 신도는 법의 세부 사항보다는 법의 존재 자체에 더 관심을 가졌다.[8] 순자는 법 자체보다는 명가에서 발견되는 소송과 역설에 반대했다.[8]

벤자민 I. 슈바르츠는 신도를 《장자》에 묘사된 '활성이 없는 수동적인 덩어리'에 비유하며, 그의 신념을 도교적으로 무관심한 것으로 특징지었다. 신도는 개인의 판단, 도덕적 행위자, 성인 등 법가 인물들이 중시하는 "군자의 주관적인 의도"를 거부했지만, 한비는 훌륭한 사람들의 역할을 완전히 무시하지 않았다.[8]

사기》 권74 열전에 따르면, 신도는 출신으로 제나라 직하에서 황로 도덕의 술을 배우고 12편을 저술했으며, 직하의 학사 중에서도 높은 지위에 있었다.

3. 1. 도가와 법가의 융합

신도는 도가법가의 사상을 절충하여 자신만의 독특한 사상 체계를 구축했다.[8]사기》에서는 신도를 도가로 분류했지만, 《한서(漢書)》, 《수서(隋書)》, 《구당서(舊唐書)》에서는 법가로 분류하고 있다.[8] 신도는 법을 존중했지만, 《장자》에서는 법을 중시하지 않았다는 기록도 있다.[8] 그는 황로 도덕(黃老道徳)의 술(術)을 배웠다고 평가받는다.[8]

신도의 저서 『신자』는 《한서》「예문지」, 《수서》「경적지」, 《구당서》「경적지」 모두 법가에 포함시키고 있지만, 사기에서는 도가로 구분하고 있다. 『수서』, 『구당서』에서는 10권으로 기록되어 있다.

신도의 사상은 상앙의 사상과 신불해의 사상과 함께 한비에게 계승되었다.

3. 2. 무위(無爲)와 법치(法治)

신도는 통치자의 무위(無爲)를 강조했다. 그는 통치자가 인위적인 노력을 하지 않아도 법(法)에 따라 자연스럽게 다스려지는 상태를 이상적인 통치 형태로 보았다. 그는 "군주와 신하의 도는 신하는 임무를 수행하고 군주는 임무가 없으며, 군주는 편안하고 행복하며 신하는 임무에 대한 책임을 진다"고 주장했다.[12][13]

신도는 신불해와 마찬가지로 비인격적인 행정을 옹호했지만, 상앙과는 대조적으로 인재의 활용[11]과 신하의 승진을 강조하며, 질서와 혼란은 "한 사람의 노력의 결과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는 유가묵가가 가치를 존중하고 현인을 임명하는 것을 질서의 기반으로 삼는 것에 이의를 제기하며, 모든 시대에 재능있는 신하가 존재했음을 지적했다. 새로운 분석적 해결책을 시도하기 위해 스스로 나선 신도는 공정성을 새로운 미덕으로 옹호했다. 학자 스가모토 히로츠구는 '관자'와 '순자'가 나중에 사용한 펀(Fen, 사회적 자원)의 개념을 신도에게 귀속시키며, 법(측정, 표준, 프로토콜, 행정 방법), 사회적 관계("음"), 분할을 통해 "차원적인" 차이를 부여했다. 신도는 면접을 통한 임명을 피하고, 불변의 법(Fa)이 모든 사람을 그들의 업적에 따라 배분하는 기계적인 배분("공정성의 기반")을 선호했다.[14]

''법''("객관적 판단의 원칙")의 가장 큰 기능은 이기적인 행위와 논쟁을 방지하는 것이다. 그러나 그는 장기적인 생존 가능성에 의문을 품고 도덕적 가치를 배제하지 않았으며, (자격을 갖춘) 유교의 가 ''법''과 사회적 관계를 보완하는 것을 받아들였다. 다만, 예(Li)를 (비인격적인) 규칙의 관점에서 파악했다.[15]

이러한 이유로 그는 "현인을 비웃고" "현자를 거부한다"고 하며, 그의 질서는 그들에게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법''에 의존한다고 했다.[16]

''법''을 보편적 이익과 관련된 공정한 객관성의 개념과 연결하고, 오래된 의례 질서의 언어를 보편적이고 제국적이며 고도로 관료화된 국가에 맞게 재구성하면서,[17] 신도는 통치자가 자신의 개인적인 판단에 의존하는 것을 경고했다.[18] 그는 개인적인 의견과 객관적인 표준, 즉 법의 장점을 대조하여 개인적인 판단이나 의견이 행사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했다. 개인적인 의견은 ''법''을 파괴하므로 신도의 통치자는 "특정 개인에게 편애를 보이지 않는다."[17]

신도는 현명함을 설파하며, 기본적으로 정치와 관료 체제를 중시했다. 한편, 백성에게 자발적인 행동 능력이 있음을 인정하고, 위정자는 특별한 작위를 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세계가 통치되어 간다는 사회 체제를 이상으로 삼았다. 이러한 사상을 단적으로 나타내는 말로 《신자(慎子)》 위덕편의 "하늘에 밝음이 있어 사람의 어두움을 걱정하지 않고, 땅에 재료가 있어 사람의 가난함을 걱정하지 않고, 성인에게 덕이 있어 사람의 위태로움을 걱정하지 않는다", 《신자》 민잡편의 "백성은 잡다하게 섞여 살면서 각자 능히 하는 바가 있다" 등이 있다.

3. 3. 세(勢)의 중요성

신도는 권력, 즉 세(勢)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세(勢)를 통해 백성들의 복종을 이끌어내고 질서를 유지할 수 있다고 보았다. 신도에게 "권력"(勢, 勢|shì중국어)은 신하의 지지를 필요로 하지 않고 복종을 강요하는 능력을 의미하지만, 이를 배제하지는 않는다.[28] 세(勢)의 장점은 사람들이 서로 싸우는 것을 막는다는 것이다. 정치적 권위는 이러한 이유로 정당화되고 필수적이다.[33] 신도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천하에 유일하게 존경받는 [사람]이 없으면, [질서 있는 정부의 원리, 리(理)]를 수행할 방법이 없다... 그러므로 천자는 천하를 위해 세워진다... 천자는 천자를 위해 세워지는 것이 아니다..."[31]

재능은 권력이 없으면 발휘될 수 없다.[34] 신도는 "나는 용은 구름을 타고, 나는 뱀은 안개를 헤맨다. 그러나 구름이 흩어지고 안개가 걷히면, 용과 뱀은 지렁이와 큰 날개 달린 검은 개미와 같아진다. 왜냐하면 그들이 타고 다니는 것을 잃었기 때문이다."라고 말한다.[28] 리더십은 능력이나 공적의 기능이 아니라, 어떤 과정, 예를 들어 집단에 리더를 주는 것과 같은 과정에 의해 주어진다.[35] "국가의 통치자는 국가를 위해 즉위한다. 국가는 군주를 위해 세워지는 것이 아니다. 관리는 그들의 직책을 위해 임명된다. 직책은 관리를 위해 세워지는 것이 아니다...[17][36]

한비자는 신도의 세(勢) 이론을 계승하여 자신의 법치 사상을 발전시켰다.

3. 4. 능력주의와 공정성

신도는 유가의 상현(尙賢) 사상을 비판하고, 능력에 따른 인재 등용을 주장했다. 그는 모든 사람이 자신의 능력에 따라 공정하게 대우받는 사회를 추구했다.[14] 신도는 유가와 묵가가 가치를 존중하고 현인을 임명하는 것을 질서의 기반으로 삼는 것에 이의를 제기하며, 모든 시대에 재능 있는 신하가 존재했음을 지적했다. 새로운 분석적 해결책을 시도하기 위해 스스로 나선 신도는 공정성을 새로운 미덕으로 옹호했다. 학자 스가모토 히로츠구는 '관자'와 '순자'가 나중에 사용한 펀(Fen, 사회적 자원)의 개념을 신도에게 귀속시키며, 법(측정, 표준, 프로토콜, 행정 방법), 사회적 관계("음"), 분할을 통해 "차원적인" 차이를 부여했다. 신도는 면접을 통한 임명을 피하고, 불변의 법(Fa)이 모든 사람을 그들의 업적에 따라 배분하는 기계적인 배분("공정성의 기반")을 선호했다.[14]

신도는 ''법''("객관적 판단의 원칙")의 가장 큰 기능은 이기적인 행위와 논쟁을 방지하는 것이라 하였다. 그러나 그의 장기적인 생존 가능성에 의문을 품은 그는 도덕적 가치를 배제하지 않고 (자격을 갖춘) 유교의 가 ''법''과 사회적 관계를 보완하는 것을 받아들였지만, 예(Li)를 (비인격적인) 규칙의 관점에서 파악했다.[15]

이러한 이유로 그는 "현인을 비웃고" "현자를 거부한다"고 하며, 그의 질서는 그들에게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법''에 의존한다고 한다.[16]

''법''을 보편적 이익과 관련된 공정한 객관성의 개념과 연결하고, 오래된 의례 질서의 언어를 보편적이고 제국적이며 고도로 관료화된 국가에 맞게 재구성하면서,[17] 신도는 통치자가 자신의 개인적인 판단에 의존하는 것을 경고하며,[18] 개인적인 의견과 객관적인 표준, 즉 법의 장점을 대조하여 개인적인 판단이나 의견이 행사되는 것을 방지한다. 개인적인 의견은 ''법''을 파괴하므로 신도의 통치자는 "특정 개인에게 편애를 보이지 않는다."[17]

신도는 다음과 같이 말하며 공정한 분배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 만약 토끼 한 마리가 마을 거리를 뛰어다니는데, 백 명이 쫓아간다면, 그것은 그 분배가 결정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만약 분배가 이미 결정되었다면, 가장 비천한 사람조차도 그것을 위해 싸우지 않을 것이다. 천하와 국가를 통제하는 방법은 오직 분배를 결정하는 데 달려 있다.

3. 5. 유교와의 관계

신도는 유교의 덕치주의를 비판했지만, 예의 중요성을 완전히 부정하지는 않았다. 그는 예가 법과 사회적 관계를 보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보았다.[8] 순자는 신도가 법에만 집착하고 유능한 인재 등용을 소홀히 한다고 비판했고,[8] 맹자와 마찬가지로 신도 역시 부모가 잘못했더라도 효를 옹호했지만, 부모가 재앙에서 벗어날 수 있다면 꾸짖을 수 있다고 제안했다.[8]

4. 저서: 《신자(慎子)》

신도(愼到)의 저서로는 《신자》 42편이 있었다고 전해지나(《한서》 「예문지」), 현재는 대부분 유실되었다. 현존하는 《신자》는 신무상(愼無象)의 교본(校本)과 청나라 수산각총서(繡山閣叢書)에 수록된 7편의 본이 있다.[1] 2007년 상하이 박물관전국 시대 초나라의 대나무 조각에 기록된 텍스트를 출판했는데, 여기에는 신자의 어록 6개가 포함되어 있었다.[2]

《한서》 「예문지」, 《수서》 「경적지」, 《구당서》 「경적지」에서는 《신자》를 법가 서적으로 분류하고 있다. 순자는 신도의 문체를 웅장하다고 평가했다.[3]

5. 현대적 의의

신도는 유가의 충신과 덕망 있는 자에 의한 정치를 부정하고, 능력주의를 설파하며 정치와 관료 체제를 중시했다. 백성에게 자발적인 행동 능력이 있음을 인정하고, 정치가는 특별한 작위를 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세계가 통치되어 간다는 사회 체제를 이상으로 삼았다. 이러한 사상은 《신자(慎子)》 위덕편의 "하늘에 밝음이 있어 사람의 어두움을 걱정하지 않고, 땅에 재료가 있어 사람의 가난함을 걱정하지 않고, 성인에게 덕이 있어 사람의 위태로움을 걱정하지 않는다"와 《신자》 민잡편의 "백성은 잡다하게 섞여 살면서 각자 능히 하는 바가 있다"에서 나타난다.[40] 신도의 사상은 도가적 특징이 있다고 평가받기도 한다.

참조

[1] 서적 Dao Companion to the Philosophy of Han Fei. Shen Dao's Theory of fa and His Influence on Han Fei
[2] 웹사이트 《上海博物馆藏战国楚竹书(六)》将出版 http://www.ewen.cc/b[...] 2012-02-15
[3] 서적 Rhetoric in Ancient China, Fifth to Third Century, B.C.E.: A Comparison with Classical Greek Rhetoric https://books.google[...] Univ of South Carolina Press 1998
[4] 서적 Dao Companion to the Philosophy of Han Fei. Shen Dao's Theory of fa and His Influence on Han Fei
[5] 문서 A STUDY OF SHEN DAO 2012
[6] 학술지 Zhuangzi https://plato.stanfo[...] 2014-12-17
[7] 서적 Encyclopedia of Chinese Philosophy 2003
[8] 문서 1985
[9] 서적 The Confucian Quest for Order https://books.google[...] 2003
[10] 서적 Disputers of the Tao: Philosophical Argument in Ancient China Open Court 1989/2015
[11] 서적 Ancient China: A Histor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6-09-22
[12] 서적 Dao Companion to Daoist Philosophy https://books.google[...] 2015
[13] 문서 Shen Dao: Text and Translation
[14] 서적 Xunzi: Books 7–16 https://books.google[...] 1990
[15] 서적 The Confucian Quest for Order https://books.google[...] 2003
[16] 서적 The World of Thought in Ancient China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09-06-30
[17] 문서 The Polarization of the Concepts Si (Private Interest) and Gong (Public Interest) in Early Chinese Thought
[18] 문서 Shen Dao's Own Voice Springer Science+Business Media B.V. 2011
[19] 서적 The Confucian Quest for Order: The Origin and Formation of the Political Thought of Xun Zi https://books.google[...] BRILL 2003-01-01
[20] 서적 Shen Dao's Theory of fa and His Influence on Han Fei. Dao Companion to the Han Feizi https://books.google[...] 2013
[21] 문서 Persistent Misconceptions about Chinese Legalism https://www.academia[...]
[22] 문서 A Study of Shen Dao 2012
[23] 서적 A History of Chinese Civilizatio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6-05-31
[24] 문서 Leadership and Management in China 2008
[25] 문서 On China 2012
[26] 서적 A History of Chinese Civilization https://books.google[...] 1982
[27] 서적 Encyclopedia of Chinese Philosophy https://books.google[...] 2003
[28] 문서 Shen Dao's Own Voice Springer Science+Business Media B.V. 2011
[29] 서적 The Confucian Quest for Order: The Origin and Formation of the Political Thought of Xun Zi https://books.google[...] BRILL 2003-01-01
[30] 서적 Disputers of the Tao https://books.google[...] 1989
[31] 웹사이트 Legalism in Chinese Philosophy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14
[32] 서적 Chinnamastā, the Aweful Buddhist and Hindu Tantric Goddess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Publishers 2010
[33] 문서 Shen Dao's Own Voice Springer Science+Business Media B.V. 2011
[34] 문서 Leadership and Management in China 2008
[35] 문서 A Study of Shen Dao 2012
[36] 서적 A Study of Shen Dao 2012
[37] 서적 Han Fei and Confucianism: Toward a Synthesis. Dao Companion to the Han Feizi 2013
[38] 서적 An Introduction to Chinese Philosoph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7-03-30
[39] 서적 名言で読み解く中国の思想家 ミネルヴァ書房
[40] 서적 名言で読み解く中国の思想家 ミネルヴァ書房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